건강한 인체

크론병, 당뇨병, 암, 심혈관질환, 치매, 알츠하이머, 조현병, 자폐 같은 질병이 장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언자 2023. 2. 12. 19:11


 

장 건강은 자가면역질환인 크론병, 당뇨병, 암, 심혈관질환뿐만 아니라 치매, 알츠하이머, 조현병, 자폐와 같은 뇌질환과도 아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행복 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세로토닌'은 뇌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세로토닌(Serotonin)'이란?
체온, 기억, 정서, 수면, 식욕 등 기분 조절에 기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세로토닌


하지만 실제로 세로토닌이 뇌에서 생성되는 것은 20%에 불과하다. 

그럼 나머지는 어디서 생성될까?

놀랍게도 80%는 에서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장 기능이 무너지면 정신 건강도 무너진다는 것이다.

지금은 장 건강이 안 좋은 사람에게 건강한 장을 가진 사람의 대변을 이식하는 치료법도 개발되어 있다.

 

 

대변 이식술


※ 대변 이식이란?
1. 건강한 사람의 대변 200~300g을 식염수와 섞어 찌꺼기를 걸러내고 남은 액체를 대장내시경을 통해 장에 이식하는 방법이다.
2. 미국에서 처음 성공(1958년)했으며 우리나라는 2013년 서울성모병원에서 최초로 시행했다.
3. 자가면역질환, 비만, 만성피로증후군 등에 효과적이다.

 

고령의 환자에게 젊고 건강한 장의 대변을 이식했더니 뇌와 장 그리고 간건강이 개선되었다는 실험 보고도 있었다.

 

장 건강 개선


장내 미생물의 수는 과연 얼마나 될까?



100조 개

 



사람의 세포수가 대략 60조 개 정도 된다고 하는데 장내 미생물 수가 100조 개가 된다고 하니 실로 엄청난 수가 아닐 수 없다.

장내 미생물의 총무게는 약 1.5kg 정도 된다고 하는데 뇌의 무게와 같다.


장내 미생물들은 우리가 먹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에너지 공급을 하며 비타민 B 등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장내 미생물에는 유익균, 중간균, 유해균으로 나눌 수 있다.

▶ 유익균은 외부 바이러스를 공격해 장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
 유해균은 독소를 내뿜어 장벽을 상처 내고 염증을 유발한다.
 중간균은 상황에 따라 유익균과 유해균이 될 수 있는데 유익균이 장내에 많으면 중간균은 유익균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유해균이 많으면 중간균은 유해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유익균은 유해균과 싸우는 과정에 여러 가지 물질들이 나와서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니 유해균은 나름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유익균과 유해균이 적절한 비율로 공존하는 것이 면역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

중간균을 포함한 유익균이 80%, 유해균은 20%가 가장 좋은 비율로 보고 있다.


◈ 장내 미생물이 만들어지는 시기는?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폐로 호흡하게 되면 횡격막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장내 미생물이 유입된다.
태어나서 3~6개월 안에 유입된 균이 평생 함께 하는 균이 될 수 있다.
아기가 3세 때 장 내 미생물 구성이 성인과 비슷해진다. 아기가 태어나서 3년이라는 기간이 그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분만 방법에 따라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자연분만한 아기보다 제왕절개로 출생한 아기에게서 호흡기, 당뇨, 대사장애, 비만 등의 질병이 높았다.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에게는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등 유익균 비율이 낮았고 유해균인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이 더 높았다.

※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이란?
토양이나 사람 등의 장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식중독이나 설사, 복통, 패혈증 등을 유발한다.

그 이유는 아기가 산도를 통해 나오게 되면 질 유익균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생기지만 제왕절개로 나오는 아기는 이러한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왕절개 시 산모에게 투여하는 항생제는 유익균을 소멸시킨다.

그렇다고 제왕절개로 나온 아기가 유익균과 접할 수 없어 건강하지 못할까? 

기회는 한 번 더 있다.

모유를 먹게 되면 유익균의 90%를 충족시킬 수 있다.

 

 


모유에는 면역물질과 면역글로불린 A 그리고 충분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점막 면역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A(Immunoglobulin A)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성인에게 필요한 것은 유산균!

유익균의 일종인 유산균은 젖산을 생성하여 장 내 환경을 산성으로 만든다.
장 내 환경이 산성화 되면 유해균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건강한 장 내 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동물성 유산균보다 식물성 유산균이 장내 산성 환경에 강하다. 김치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https://docall.tistory.com/114

 

포스트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프로바이오틱스의 대사산물

제목이 무슨 수학공식 같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산균! 얼마나 알고 드시나요? 요즘 '포스트바이오틱스'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유익한 유산균 정도로 알고 드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

docall.tistory.com

 

반응형